티스토리 뷰

728x90

공용체 활용

동일한 저장 장소에 여러 데이터 타입을 저장하는 자료구조

1. 멤버들이 메모리를 공유해서 사용하는 기법

2. 공용체의 크기는 공용체의 멤버 중 가장 크기가 큰 멤버에 의해 결정

 

공용체 변수를 초기화할 때는 첫 번째 멤버의 초기값만 지정

공용체의 멤버에 접근할 때도 '.'와'->' 연산자를 사용함

 

 비트필드

1. 구조체가 가진 멤버를 비트 단위로 사용

2. 비트필드 정의

예 ) 멤버이름 +  :  + 비트 수 기술

3. 메모리에 할당할 때, 첫 번째 멤버를 최하위 비트에서부터 할당

4. 비트필드의 멤버에 표현 가능한 범위 밖의 값을 저장하면 오버플로우가 발생

5. 비트필드를 정의할 때는 중간에 일부 비트를 비워두고 멤버를 특정 비트에 할당할 수 있음


리틀 엔디안과 빅 엔디안

 

리틀 엔디안 : 최하위 바이트부터 메모리에 저장하는 방식

(인텔 계열의 CPU)

빅 엔디안 : 최상위 바이트부터 메모리에 저장하는 방식

(모토로라 계열의 CPU)

 

열거체 활용

나열된 정수 값 중 하나를 갖는 정수형의 일종

일종의 사용자 정의형

열거체 변수에는 열거체 정의에 나열된 열거 상수 중 하나를 저장하고 사용

열거 상수만 정수형 상수로 정의할 수도 있음

 

typedef

<1> 재정의

01 데이터 타입의 이름을 새로운 이름으로 재정의

02 코딩의 편리성 증대

03 프로그램의 시스템 간 호환성 향상

 

공용체

● 공용체는 멤버들이 메모리를 공유해서 사용하는 자료구조임

● 비트필드는 구조체 멤버를 비트 단위로 할당하여 사용함

● 열거체는 성주형의 일종으로 변수가 가질 수 있는 값을 열거 상수로 나열하는 것임

● typedef는 기족의 데이터형에 새로운 이름을 만드는 기능임

● typedef는 호환성과 가독성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사용함

'JAVA기반 스마트 개발2021 > 프로그래밍 언어활용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스토리지 클래스  (0) 2021.08.01
함수의 인자  (0) 2021.08.01
구조체  (0) 2021.08.01
포인터와 문자열  (0) 2021.08.01
포인터 활용  (0) 2021.08.01
댓글